The 21st Seoul Independent Animation Festival
서울인디애니페스트20259월 18일(목) ~ 9월 23일(화)
심사위원
- 독립보행/새벽비행
- 랜선비행
- 아시아로
- 미리내로
- 독립보행 예선
- 새벽비행 예선
- 랜선비행 예선
- 아시아로 예선
- 미리내로 예선
독립보행 Independent Walk새벽비행 First Flight
-
긴츠질바로디스 Zilbalodis GINTS
라트비아 출신의 영화감독으로, 2024년 [Flow]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국제영화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며, 독립 장편 애니메이션 최초로 해당 상을 수상한 작품이자 라트비아 영화로는 처음으로 후보에 오른 작품이다. 그의 데뷔작 [Away]는 감독이 전 과정을 혼자서 완성한 작품으로,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Annecy)에서 콩트르샹(Contrechamp) 부문 최우수 장편상을 수상하고, [Away] 이전에는 손그림 애니메이션, 3D 애니메이션, 실사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7편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으며, 이들 작품에서는 매체의 고유한 미학을 혼합하는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인다. 현재는 2019년에 설립한 자신의 스튜디오인 Dream Well Studio를 운영하고 있다.
-
이건호 LEE Geonho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영화음악을 전공했다. 2017년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을 시작으로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곡가로 활동해오며 최근 영화 [아메바 소녀들과 학교괴담 : 개교기념일](2024), [교생실습 : 아메바 소녀들과 학교괴담 2](2025)의 음악감독을 맡았다.
-
이원우 LEE Wonwoo
2006년부터 실험영화와 사적다큐멘터리를 필름작업을 기반으로 만들어 왔다. 단편 [막](2013)으로 서울독립영화제 독불장군상, [거울과 시계](2010)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단편우수상, 공동연출작 [붕괴](2017)로 부산국제영화제 비프메세나 상을 수상했다. 최근작 [오색의 린](2024)은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
정승희 JUNG Seunghee
홍익대학교에서 회화를,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방송영화를 전공했다. 2004년 1회 인디애니페스트에서 [빛과 동전]으로 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우주 보자기], [안개 너머 하얀 개], [보이지 않는 눈], [기억은 먹구름] 등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국내외 다양한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했다.
-
허범욱 HUR Bumwook
2009년 한겨레문화센터에서 단편 [평범한 식사]를 만들며 애니메이션을 시작했다. 이듬해 한국영화아카데미에 입학. 두 번째 단편 [선량한 인간들의 도시]와 2015년 홀랜드애니메이션영화제 장편 그랑프리를 수상한 첫 장편 [창백한 얼굴들]을 통해 본격적인 애니메이션의 세계에 뛰어들었다. 그 후 세 번째 단편 [갈라파고스]를 거쳐, 2024년 10년 만에 두 번째 장편 [구제역에서 살아 돌아온 돼지]를 완성했다. 그해 서울인디애니페스트 관객상을 비롯해, 장편 애니메이션 최초로 서울독립영화제의 본상인 장편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지난 1년간 전 세계 20여 개가 넘는 영화제에서 상영을 계속 이어오고 있으며, 2026년 한국과 일본 개봉을 준비 중이다.
랜선비행 Web Animation
-
박현지 PARK Hyeonji
말강이(Malgang) 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애니메이션 감독. 웹 애니메이션 [그 녀석과 친해지는 방법](2017) 연재를 통해서 애니메이션을 시작하게 되었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를 졸업했고, 단편 애니메이션 [핑거스프링](2020), [플리에, 리바운드](2024) 등을 제작했다. 2023년부터 유튜브와 SNS를 통해 웹 애니메이션 시리즈 [소피의 마법일기]를 연재 중이며, 글로벌 시청자와 소통하며 활발히 창작 활동 중이다.
-
키크니 Keykney
SNS에서 100만명 이상의 구독자님들과 열심히 소통하며 일러스트레이터미네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키크니의 일상툰과 사람들에게 사연을 받아 한 컷으로 표현하는 [무엇이든 그려드립니닷], 사연툰, 작명 등을 연재하고 있다. 서울과 부산에서 [일러바치기]라는 전시를 했으며, 네이버 웹툰 등의 활동을 했다. 저서로는 [키크니의 무엇이든 그려드립니닷!], [일상, 다 반사], [별일 없이 산다]가 있다.
아시아로 ASIA ROAD
-
이나윤 Grace Nayoon RHEE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과 학사, CalArts 실험애니메이션 석사를 취득하고 2D 드로잉과 스톱모션을 기반으로 한 실험애니메이션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View], [Triangle], [Insect Bite], [The Playground] 등 다수의 단편을 제작, 다양한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 및 수상되었으며, 현재는 한국에서 창작 활동을 지속하며 홍익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이상화 LEE Sasha
대한민국의 애니메이터이자 애니메이션 감독. 2020년 [운석이 떨어졌으면 좋겠어], 2024년 [고라니 아이돌과 나]를 감독했다. 다양한 뮤직비디오와 광고, 시리즈 애니메이션에 애니메이터로 활발히 꾸준하게 참여하고 있다.
-
전진규 JEON Jinkyu
2015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에서 학사 과정을, 2022년 도쿄예술대학 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2022년 졸업작품 [상실의 집]은 키치조지 영화제에서 그랑프리와 스튜디오 4℃, 프로덕션 아이지 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서울 인디애니페스트에서의 관객상과 독립보행상을 포함해 총 38관왕을 수상하였다. 효율과 소비가 지배하는 시대에 의도적으로 역행하는 길을 선택하고자 한다.
미리내로 MIRINAE ROAD
-
카즈키스나미 Kazuki SUNAMI
1998년 미네소타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대학교를 졸업, 1999년 CoMix Wave Films의 전신인 CoMix Wave에 입사했다. 2002년 [별의 목소리]를 시작으로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작품의 해외 배급을 담당하며, 감독의 월드투어와 중동 지역의 제작 워크숍에도 동행해왔다. 2007년부터 CoMix Wave Films의 이사로 재직 중이며, 현재는 사업개발부 책임자로서 국내외 사업을 모두 총괄하고 있다.
-
한지원 HAN Jiwon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했다. 단편애니메이션 [코피루왁]이 인디애니페스트 대상을 수상하며 첫 주목을 받았다. 이후 스톤헨지, 아시아나 등 브랜드와 협업한 광고 애니메이션이 국내 유수 광고제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중편 [마법이 돌아오는 날의 바다]는 선댄스 영화제에 공식 초청 상영되었으며, 인디애니페스트 대상을 다시 한번 수상했다. 숏폼 시리즈이자 장편인 [그 여름]은 국내와 일본에서 개봉하였으며, 2025년 상반기에 장편애니메이션 [이 별에 필요한]을 감독해 넷플릭스를 통해 전세계 동시 공개 되어 호평을 받았다. 이렇듯 한지원은 광고, 단편, 중편, 장편을 아우르며 다양한 길이와 상업과 비상업을 오가며 활발한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 출처: 엘르 코리아 영배 ELLE Korea YoungBae -
홍대영 HONG Dae-yeong
2010년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를 졸업했다. 쉼없이 단편 애니메이션을 10편을 제작했다. 2015년에는 장편 애니메이션 [슈퍼문] 제작에 착수하여 2019년 인디애니페스트 파노라마 부문에 상영했다. 마침내 2021년 9월, [슈퍼문]이 극장 개봉을 했다. 이 소중한 경험을 발판 삼아 계속해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매진하고 있다.
독립보행 예선 Independent Walk
-
고동환 KO Donghwan
애니메이션 감독. 홍익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였다. 2020년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PLAY ON]을 통해 관객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물 만난 붕어빵]을 연출하여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는 등 감독으로서의 입지를 이어가고 있다. 동시에 레이아웃 아티스로서 다수의 할리우드 영화와 넷플릭스 시리즈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현재는 봉준호 감독의 차기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
김창수 KIM Changsoo1996년부터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고 있다.전작으로 단편 [어둠의 저편], [보편적인 삶], [먹이들], [사라지는 것들], [엄마의 집]이 있다. 2022년 [사라지는 것들], 2025년 [엄마의 집]이 안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과 애니마페스트자그레브에 초청됐고, 2022년 판타지아국제영화제 단편은상, 2024년 서울인디애니페스트 KIAFA 특별상을 비롯해 국내외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했다.
-
추혜진 Jinny Hyejin CHOO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동 대학원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애니메이션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의 이론과 제작을 강의하고 있다.2000년부터 부천 국제학생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 및 컨퍼런스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 및 프로듀서로 활동 중이다.
새벽비행 예선 First Flight
-
김경배 KIM Kyeongbae
애니메이션 감독. 2017년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 학부 애니메이션 전공을 졸업하였고 2019년 [seoulsori] 뮤직비디오를 제작을 시작으로 2022년, 단편 애니메이션 [AMEN A MAN]을 제작하여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초록이상, 캐나다 판타지아영화제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금상인 곤 사토시상을 받았다. 이 밖에도 드라마, 다큐멘터리, 뮤직비디오, 광고 등 상업적으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
모은영 MO Eunyoung
영화와 애니메이션 이론을 전공했다. 영화 전문 방송 프로그램 작가와 여러 영화잡지 및 일간지에 영화평론을 기고했다.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 KOFA 개관에 참여해 다년간 프로그래머로 재직했으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서울인디애니페스트 프로그래머를 거쳐 2025년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임용됐다. 『청춘의 십자로』 변사공연 등 고전영화를 다양한 장르와 접합한 복합공연을 다수 기획했다.
-
오서로 OH Seoro
청강문화산업대학 애니메이션 전공 졸업, 단편 [애프터눈 클래스(Afternoon Class)]와 [(OO)]으로 독일 슈투트가르트 애니메이션 영화제 한국인 최초로 Lotte Reiniger Promotion Award for Animated Film을 수상, 인섬니아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대상 수상 등 국내외 다수 영화제에서 초청 및 수상하는 등 독립애니메이션 감독/프리랜서로 활동, 2021년부터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OSROCTION 대표이사 겸 감독으로서 (주)카카오 협업 2D 키즈 시리즈 [내마음은 무지]를 감독/기획/제작을 맡아 국내 넷플릭스 키즈 1위를 기록, 동시에 (주)SAMG Entertainment 과 협업/투자 한 변신로봇 시리즈 [메탈카드봇]의 총감독을 맡아, 국내는 물론 해외수출로 상업애니계의 활기도 이어가기 위해 노력 중이다.
랜선비행 예선 Web Animation
-
이종훈 LEE Jonghoon
이종훈 감독은 2005년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2007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에서 수학하며 본격적인 창작 기반을 다졌고, 2013년부터 VCRWORKS에서 감독으로 활동하며 단편, 브랜드 필름, 뮤직비디오, TV 캠페인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연출해왔다. 대표작으로는 [별이 빛나는 밤에](2017), [건축가 A](2022), [창가의 작은 텃밭](2024) 등이 있다. 일상의 사소한 풍경 속에서 정서적 깊이를 포착하는 연출로, 국내외에서 독창적인 미학과 내러티브 감각을 인정받고 있다.
-
정휘빈 CHUNG Huibin정휘빈 감독은 칼아츠(Calarts) 캐릭터 애니메이션과를 졸업 후 프리랜서로 활동하던 중 단편 애니메이션 [민서와 할아버지](2020)로 애니메이션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도나표류기](2022)를 시작으로 장르 영화에 도전하게 된 정휘빈 감독은 sf 스릴러 [엔터티]로 2024년 부천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및 다수의 영화제에 초청되었다.현재 중편 호러 애니메이션 [아모가]를 제작 중에 있다.
-
최희승 CHOI Hee-seung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2019년 [사랑은 꿈과 현실의 외길목에서]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자그레브 애니메이션페스티벌의 스페셜 멘션, 서울인디애니페스트의 축제의 별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다수의 국내외 영화제를 통해 작품을 선보였다. 현재는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과, 동아대학교 미술학과 영상예술전공에 출강하고 있다.
아시아로 예선 ASIA ROAD
-
이경화 LEE Kyunghwa서울엔애니메이터 편집/발행인, 애니메이터, 영화제 프로그래머.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시그라프아시아(2020&2022), 텐트영화제(2021~2023)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래머이다.
-
이혜정 LEE Hyejeong
시각디자인을 공부한 뒤, TVCM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삼아오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분야를 넓혀왔다. 창의인재 동반사업을 통해 만든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2021)로 독립 애니메이션 감독의 경험을 쌓기 시작. 현재는 상업 활동을 이어가며 차기 단편을 제작하고 있다.
-
송영성 SONG Yungsung한국 출신의 드로잉 기반 애니메이션 영화 작가로, 20세기 초 현대 회화 이론과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 이론을 접목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생의 기쁨](2024)과 [창조적 진화](2019)가 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에서 작가론과 드로잉 워크숍 중심의 디자인 교육을 하고 있다.
미리내로 예선 MIRINAE ROAD
-
이경화 LEE Kyunghwa서울엔애니메이터 편집/발행인, 애니메이터, 영화제 프로그래머.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시그라프아시아(2020&2022), 텐트영화제(2021~2023)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래머이다.
-
최유진 CHOI Yujin
2007년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문화연구전공 문화예술경영학 석사 졸업. 2006년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사무국에 들어와 2007년부터 사무국장으로 활동하였으며, 인디애니페스트 영화제 사무국장을 거쳐 2017년부터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 외에 독립애니메이션 관련 상영 및 배급, 교육, 정책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추혜진 Jinny Hyejin CHOO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동 대학원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애니메이션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의 이론과 제작을 강의하고 있다.2000년부터 부천 국제학생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 및 컨퍼런스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 및 프로듀서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