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1st Seoul Independent Animation Festival

서울인디애니페스트20259월 18일(목) ~ 9월 23일(화)

제16회 (2020)

예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이경화 LEE Kyunghwa

    서울엔애니메이터 SEOUL&ANIMATOR 편집/발행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등 영화제 일을 하고 있다. 현재 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SIGGRAPH Asia 2020 Computer Animation Festival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 심사위원
    이종훈 LEE Jonghoon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션/독립출판 스튜디오 VCRWORKS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Korea animation high school)에서 단편 [몽상걷기]를 제작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K-ARTS)에 입학하여 단편 [별이 빛나는 밤에(The Starry Night)]를 제작하였다. 현재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건축가A(The Architect A)]를 기획하고 있다.

    단편애니메이션, 광고, 뮤직비디오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작업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심사위원
    함준서 HAHM Junseo

    함준서는 생물학적인 영감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아트로서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애니메이션 작가이다. 한국에서 미술 이론을, 미국 칼 아츠에서 실험 애니메이션을 공부한뒤 포틀랜드의 벤트 이미지랩에서 디자이너 겸 감독으로, 서울의 제일기획에서 기획자로 일하였다.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비롯한 수많은 영화제에서 작품을 상영하였으며, 현재는 충주의 건국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 심사위원
    이용선 LEE Yongsun

    애니메이션 감독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졸업

    애니메이션 감독,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4번째 단편 애니메이션 [화장실 콩쿨(Toilet Concours)]로 2015 인디애니페스트 독립보행상, 관객상, 관객 심사단상을 수상했다.

    첫 장편 애니메이션 [반도에 살어리랏다(I'll Just Live in Bando)]로 2018 체코 애니필름(ANIFILM) 대상을 수상했다.

  • 심사위원
    임현숙 LIM Hyunsook

    네이버 그라폴리오&공연예술 담당자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들이 작품활동을 하고 팬들과 소통하는 콘텐츠 플랫폼인 그라폴리오에서 서비스 기획과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언택트 시대에 맞추어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다양한 문화생활을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도록 뮤지컬, 연주회, 발레, 연극 등의 공연과 전시를 영상화하여 네이버TV를 통해 생중계하는 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다.

  • 심사위원
    최유진 CHOI Yujin

    2007년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문화연구전공 문화예술경영학 석사 졸업. 2006년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사무국에 들어와 2007년부터 사무국장으로 활동하였으며, 인디애니페스트 영화제 사무국장을 거쳐 2017년부터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씨앗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애니메이션 배급을 시작하였고, 현재 독립애니메이션 관련 상영 및 배급, 교육, 정책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심사위원
    나호원 NAH Ho-Won

    애니메이션 연구가, 단국대, 중앙대 강사.

    미국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실험 애니메이션 제작(MFA)을, 영국 왕립예술대학에서 애니메이션이론(MPhil)을 공부하였으며, 영국 러프버러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이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공무도하가(화장지, 1999)] 와 [플라스틱 트라우마: 나르시스와 오필리아, 두 익사체의 死因에 관한 소견서(스톱모션, 2004)] 등을 만들었다. 스포츠 서울 신춘문예 만화평론, 키노 신인 영화평론가 공모에 당선되어 만화 평론과 영화 평론을 하기도 하였으며, 키트 레이번의 「애니메이션」과 올리비에 코트의 「오스카애니메이션」을 우리말로 옮겼고, 현재는 여러 지면에 애니메이션 칼럼과 비평을 쓰고 있다.

  • 심사위원
    정주아 CHUNG Joo-A

    정주아는 단편 애니메이션 2007년 [이런 싸가지없는 놈이 하는 소리]로 애니메이션 제작을 시작했으며, 2010년에는 단편애니메이션 [귀신의 나쁜 기억]을 제작했다. 이후에는 애니메이션과 드로잉, 페인팅 등 다양한 매체의 작업물을 전시 공간에서 함께 설치하여 선보이는 작품에 집중했으며, 2013년 [진실한 남자], 2018년 [망설이는 개]는 발표하고 대안공간 루프(2013), 환기미술관(2015), 복합문화공간 에무(2018)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 심사위원
    추혜진 Jinny HyeJin CHOO

    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2015년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부터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과천국제SF영화제의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시그래프 아시아 2020 컨퍼런스 의장과 인디애니페스트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 테라피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통합예술교육과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 심사위원
    모은영 MO Eunyoung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상이론학과 영화이론 및 애니메이션이론을 전공했으며 EBS 시네마천국, 애니토피아 작가 및 film2.0, cine21 등에 영화 칼럼을 기고했다.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인디애니페스트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청춘의 십자로] 변사 공연 등 고전영화를 다양한 매체와 융합해 재해석한 복합공연을 다수 기획, 제작했다.

  • 심사위원
    이규태 LEE Kyu-tae

     

    애니메이션 감독/만화가/일러스트레이터.

    일러스트와 만화 애니메이션 작업을 사물과 공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을 좋아한다. 단편 만화와 애니메이션 [Here Winter], [몸이 큰 아이], [Each Other] 등을 제작하였고 일러스트를 통한 협업도 즐기고 있다.


     

  • 심사위원
    한지원 HAN Jiwon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했다.

    2010년 한예종 재학 중에 출품한 [코피루왁]이 인디애니페스트 대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15년 [코피루왁], [학교 가는 길], [럭키미], [사랑한다 말해]를 엮어 극장판 [생각보다 맑은]을 개봉했다. 2017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웹애니메이션 [딸에게 주는 레시피] 10편을 연재해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문화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광고, 뮤직비디오, 웹 시리즈와 장편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포맷을 기획, 제작하고 있다.


본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강준원 KANG Jun-won

    1976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영화아카데미(KAFA)에서 애니메이션 연출 전공을 졸업했다. 2000년 단편애니메이션 [아리랑(Arirang)], 2004년 단편애니메이션 [정현아~(Hey~ Jung-Hyun)]를 발표했다. 현재 학산문화사에서 디지털사업팀 팀장을 맡고 있다.


  • 심사위원
    이진아 LEE Jin-ah

    1999년 십만원영화제의 포스터 디자인을 시작으로 여성영화제, 인디다큐페스티벌, 인디애니페스트,국제대학생평화영화제, 여성문화축제 등 다양한 문화제와 영화제의 포스터를 그리고 디자인해왔다. 그 밖에도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린책으로는 「생각이 크는 인문학」 시리즈, 「나쁜 고양이는 없다」, 「빨간내복의 초능력자」, 「산이 부른다 1, 2, 「초등속담 팩트체크」, 고양이 액티비티 북 「그릉 그릉 그릉」 등이있다.


  • 심사위원
    김윤경 KIM Yunkyoung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가르치는 사람이다.

    2015년 단편애니메이션 [벌레아이(Insectichild)]를 제작하여 Ismaili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Festival ANIMANIMA World Panorama 부문, 제60회 독일 라이프찌히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영화제 International Program 부문에 초청되었다. 2017년에는 [습기(Misty)]를 만들고 슈투트가르트 국제필름페스티벌 파노라마 섹션 상영, 인디애니페스트2018 독립보행에 초청되었다. 이 외에도 EBS-TV [미술탐험대(Art Odyssey)], [스쿨랜드(School Land)] 외 다수 작품의 미술감독과 연출을 맡아왔다.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스쿨 교수이다.


  • 심사위원
    문성경 Sung MOON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2004년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램팀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 KT&G상상마당시네마, 전주프로젝트마켓, 인천다큐멘터리포트 등 국제산업 행사 및 포럼에서 활동했다. 2013년부터 영화진흥위원회의 중남미 주재원을 역임했고, 부에노스아이레스한국영화제를 창설한 바 있다. 2019년부터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재직 중이다.


  • 심사위원
    원종식 WON Jongshik

    1999년에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2003년에 뉴욕주립대 FIT 칼리지 컴퓨터 애니메이션 & 인터렉티브 미디어과를 졸업하고 2007년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전문사를 졸업한 후 지금까지 ㈜아슈비아만화영화푸로덕션에서 대표이사 겸 감독으로 있다. 2014년 EBS 방영 애니메이션 [바오밥섬의 파오파오] 52화 시리즈를 제작, 감독하였다. 2019년 기획, 제작, 각본, 감독한 장편 애니메이션 [별의 정원]은 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장편부문 드림상을 수상하였으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대만가오슝국제영화제, 런던한국영화제 등에서 공식 초청되었다.

    그 외에도 유수한 국내외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하였으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심사위원
    김혜미 KIM Hyemi

    부산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영화 아카데미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였다.

    단편 애니메이션 [배다리뎐]으로 2015년 인디애니페스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첫 장편 애니메이션 [클라이밍]을 완성하였다.


  • 심사위원
    전승배 JEON Seungbae

    애니메이션 감독

    중앙대학교 첨단영상 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제작 석사를 졸업하였고 토이빌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한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무슨일이야?(2008)], [다녀오겠습니다(2014)] , [두 소년의 시간(2016)], [토요일 다세대주택(2018)]을 만들었고 클레르몽 페랑 단편 영화제, 뉴욕 국제 어린이 영화제, 삿포르 국제 단편 영화제, 디지콘6 아시아 등 세계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 및 상영했다. 다수의 애니메이션 광고, 전시, 프로모션 영상 등을 제작했고 2017년과 2019년 신세계 백화점 크리스마스 애니메이션을 연출/제작했다. 최근, [토요일 다세대주택] 단편 애니메이션을 「쿵쿵 아파트」 그림책으로 전환하며 그림책 작가로 창작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 심사위원
    정중엽 JEONG Jung-yeop

    고1부터 독학으로 기타를 치다가 고3 때 야심차게 첫 밴드를 결성했으나 곧 해체되었다. 혼자서라도 음악을 해야겠다고 생각해서 기타 전공으로 대학에 갔다. 재즈를 주로 배우는 학교가 싫어 겉돌다 작곡으로 전과하고 홍대에서 기타와 베이스로 ‘스마일즈’, ’포츈쿠키’, ’오지은’, ’라이너스의 담요’ 등의 뮤지션들과 함께 했다. 그중 가장 오랫동안 함께 했으며 최근까지 했던 밴드가 ‘장기하와 얼굴들’인데 2019년 초 밴드가 해산하면서 프리랜서가 되었다. 현재 ‘이날치’, ’우주도깨비’, ‘타틀즈’의 멤버로 활동 중이고, 최근에는 영화 [항거:유관순 이야기]와 넷플릭스 영화 [페르소나 – 러브세트(이경미)]의 음악에 참여했으며, 서울독립영화제 개막작 [서울 7000]과 무주산골영화제 개막작 [또순이]의 음악감독을 맡았다. [찬실이는 복도 많지]로 영화음악 감독으로 데뷔했다.​


  • 심사위원
    제정주 JE Jeongju

    프로듀서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을 졸업했다. [우리들](2015), [용순](2016), [우리집](2019)을 제작한 영화사 아토 대표이며 [어른도감](2017), [살아남은 아이](2017) 외 다수 작품의 프로듀서이다.


  • 심사위원
    조경훈 CHO Kyunghun

    1995년에 첫 단편 애니메이션 [변비(Constipation)]와 2000년에 단편 애니메이션 [헝그리(Hungry)]를 제작하고 이후 스튜디오애니멀을 설립하였다. 스튜디오애니멀에서 제작한 [메디컬 아일랜드(Medical Island)], [고스트 메신저(Ghost Messenger)], [놓지마 정신줄(Hang on)], [노블레스(Nobless)] 등의 다양한 형식의 커머셜 작품의 총괄 프로듀싱을 담당하였다. 최근 장편 공포 스릴러 애니메이션 [성형수(Beauty water)]로 첫 상업 작품 감독으로 데뷔하였고 한국애니메이션산업협회 회장을 역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