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1st Seoul Independent Animation Festival
서울인디애니페스트20259월 18일(목) ~ 9월 23일(화)
제17회 (2021)
예선심사위원
-
김승희 KIM Seunghee애니메이션 감독. 2014년 작 [심경]과 2017년 작 [심심]으로 슬램댄스, 앤아버, 독 라이프치히, 안시 등 해외 유수 영화제에 초청받았으며 2018년에 삼성문화재단 지원 작가로 선정되어 프랑스 파리 시테 국제 예술 공동체 레지던시를 참여하였다. 2020년에 발표한 [호랑이와 소]는 뉴욕타임즈 Op-Docs 시리즈로 소장되었다.
-
이경화 LEE Kyunghwa서울엔애니메이터 SEOUL&ANIMATOR 편집/발행인.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SIGGRAPH Asia 2020 Computer Animation Festival 프로듀서, 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이다.
-
송시형 SONG Shihyeong
고려대학교에서 문화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국제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시 교육청 행복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단 영화·애니메이션 교안개발 프로젝트 TF연구원으로 참여하였고, (사)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이사와 인디애니페스트 집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 한국융합인문학회와 한국사회적질학회에서 부회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주최한 2019·2020 만화평론 공모전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영화진흥위원회 등에서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였다.
-
권서영 KWON Seoyoung일러스트레이터, 그림책 작가.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 졸업.웹 애니메이션 [시루 더 디저트], 그림책 「시루의 밤」 등의 저작 활동을 했다. 광고, 뮤직비디오, 앨범 커버, 북 커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트 컨셉과 일러스트레이션을 도맡아 왕성한 작업을 하는 중이다.
-
오서로 OH Seoro
독립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터,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단편 애니메이션 대표작으로 [애프터눈 클래스(2015)], [(OO)(2017)]를 제작해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를 비롯한 다수의 국내/외 영화제를 통해 관객에게 선보이고, 구독자 수 43만 유튜브 채널 OSRO를 통해서도 다양한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
홍준표 HONG Junpyo애니메이션 감독. STUDIO ROOMER 대표.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출강.2013년 인디애니페스트 새벽비행상을 수상한 단편애니메이션 [바람을 가르는]을 시작으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꾸준히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제작해오고 있고, 현재는 2021년 개봉 예정인 장편애니메이션 [태일이]를 감독하고 있다.
-
송락현 SONG Lackhyun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연구가.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산업적 발전을 위해 작품 기획과 연구 활동을 꾸준히 병행해 오고 있다. 1997년 투니버스의 애니메이션 정보 프로그램 [스튜디오 붐붐]의 진행자로 활약했으며,1999년 제작한 7부작 특집 다큐멘터리 [한국 만화영화 40년사]는 대한민국 케이블 TV 최우수 프로그램 대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 프로듀서를 담당했던 극장용 애니메이션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 3D]는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흥행 2위에 오른 바 있다. 주요 저서로는 「송락현의 애니스쿨, ANI SCHOOL」, 「일본 극장 아니메 50년사」 등이 있다.
-
추혜진 Jinny HyeJin CHOO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2015년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부터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과천국제SF영화제(Gwacheon SF Film Festival)의 프로그래머를 거쳐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와 컨퍼런스 의장을 맡았다.
현재 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와 릴레이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 테라피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통합예술교육과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
한지원 HAN Jiwon
서울예술고등학교 디자인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했다.
2010년 한예종 재학 중에 출품한 [코피루왁]이 인디애니페스트 대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15년 [코피루왁], [학교 가는 길], [럭키미], [사랑한다 말해]를 엮어 극장판 [생각보다 맑은]을 개봉했다. 2016년에는 웹툰 「피아노 마주보기」 70화를 연재했다. 2017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웹애니메이션 [딸에게 주는 레시피] 10편을 연재했다. 이후로는 카카오 TV 웹 드라마 [아만자]의 애니메이션 파트를 감독했다. -
나기용 NA Giyon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전공에서 교육 및 연구자로 활동하고 있다.
퓨처아트 감독 및 대표를 역임하며 애니메이션의 디지털 창작 1세대로 [SUBWAY], [Lost Box] 등으로 95년 제1회 SICAF 대상, 감독상, 96 오타와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경쟁부문 선정, 히로시마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초청상영 등 다수의 창작, 커머셜 작품에 참여하였다.
독립애니메이션작가모임 애니마포럼, (사)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창립멤버 및 대표를 역임하였고 「꽃피는 한국 독립애니메이션 30년」을 저술하였다. -
모은영 MO Eunyoung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상이론학과 영화이론 및 애니메이션이론을 전공했으며 EBS 시네마천국, 애니토피아 작가 및 film2.0, cine21 등에 영화칼럼을 기고했다.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 KOFA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인디애니페스트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청춘의 십자로] 변사 공연 등 고전영화를 다양한 매체와 융합해 재해석한 복합공연을 다수 기획, 제작했다.
-
박지연 PARK Jiyeon2005년 단편 애니메이션 [인스턴트 메모리]로 데뷔, 이후 [도시에서 그녀가 피할 수 없는 것들], [낙타들], [피부와 마음], [유령들]를 연출하였으며 [스튜디오 지금이 아니면 안 돼]의 장편 애니메이션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의 조감독, [마왕의 딸] 미술 감독을 맡았다.
-
동민호 DONG Minho
경희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현재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등 작곡가 겸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대표작으로는 [뽀롱뽀롱 뽀로로],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시크릿쥬쥬] 등이 있다.
-
라정인 RAH Jung-in2007년 한국영화아카데미를 졸업했다.[영숙(2020)], [누구나 마음속엔 고양이가 산다(2014)], [14 Beat(2009)] 등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연출했으며 다수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현재 로이비쥬얼에 재직중이다.
-
이윤진 LEE Yunjin
영화 [암전(2019)]을 기획 제작한 영화사 아이뉴 컴퍼니 대표이며, 현 웹툰과 영화의 콜라보로 이루어진 OTT 프로젝트 [테이스츠 오브 호러(2021.09. 스트리밍 예정)] 시리즈를 제작총괄 중이다. 상업 및 다양성 영화를 포함하여, 웹드라마, 뮤지컬, 연극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들을 프로듀싱 해왔다.
-
전승일 CHON Seung-il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했고, 오토마타 공작소 대표감독으로 애니메이션과 오토마타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내일인간(1994)], [연필 이야기(1995)], [순환(1996)], [사랑해요(1997)], [미메시스 TV(2000)], [하늘나무(2003)], [Cold Blood(2004)], [오월상생(2007)], [전쟁놀이(2013)] 등의 독립 애니메이션을 만들었고, 오버하우젠 국제단편영화제, 테헤란 국제단편영화제, 로마 독립영화제, 오타와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베를린 국제단편영화제, 트레본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히로시마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등 국내외 영화제에서 상영했다. 현재 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을 주제로 하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금정굴 이야기]를 제작하고 있다.
본선심사위원
-
김영덕 Ellen Y.D. KIM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미학 및 문화기획을 전공했고 90년대 후반 문화 학교서울을 통해 영화와 인연을 맺었다. 2001 년부터 4년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프로그래머로 일했다가 필름마켓, 제작사, 수입사 등에서 다양한 분야의 영화 경력을 쌓은 후 2016년 다시 영화제로 돌아와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칸영화제 주목할만한시선에 초청된 [크라이 우먼], 2012년 타이페이영화제 신인 감독상을 수상한 [하나안(2011)] 등을 제작했고 홍상수 감독의 [밤과 낮(2008)]의 프로듀서로 일했다. -
박재옥 PARK Jaeok애니메이션 감독한국 영화 아카데미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했다. 단편 애니메이션 [STOP]이 2008년 칸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바 있으며 극장용 장편 [로망은 없다(2010)]를 공동연출했다. 퍼니플럭스에 재직하며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엄마까투리]를 100여 편 이상 연출했고 현재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애니홀의 대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위즈덤하우스에서 출간된 그림책 『내 방에 찾아온 흙거인(2020)』의 저자이기도 하다.
-
서영주 SUH Yong-chu애니메이션 테크닉을 기반으로 영상작업을 하고 있다.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낭시국제영화제 등에서 수상하였고, 한국영상자료원,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서울시립미술관, 포항시립미술관, 해머미술관, 히로시마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판토체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등 다수의 국제 전시와 영화제에 참여하였다. 뉴욕의 스쿨오브비주얼아트를 우수졸업하고 캘리포니아예술대학에서 융합미디어와 실험애니메이션 석사, 중앙대학교에서 영상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건국대학교 영상영화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
허수영 HUH Suyoung한양대학교 영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애니메이션 연출을 전공했다.단편애니메이션 [원플러스원(2015)], [조금 부족한 여자(2020)]를 만들었고 웹애니메이션 [내 친구BJ]로 인디애니페스트 랜선비행상을 수상했다.
-
황보새별 HWANGBO Saebyul
건국대 영상애니메이션 학사, 영화영상학 석사를 전공하였다.
작품으로 [지워버리다(2008)], [관점(2011)], [디스크조각모음(2014)], [유어 마이 선샤인(2016)]이 있으며, JTBC스튜디오 스튜디오룰루랄라 PD로 디지털콘텐츠 [시작은 키스(2018)], [뽀나나 시즌1,2(2019)), [내 인생이 레전드다(2019)], [연애망해썰(2020)] 제작, 현재 드라마 기획PD로 재직 중이다. -
김효용 KIM Hyoyong
홍익대에서 디자인을, 애니메이션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칼 아트(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에서 실험애니메이션을 전공하였고 3D를 교육하고 연구하면서 컴퓨터과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작품으로는 [Canned Fish], 대표저술로는 『애니메이션 기술론』 등이 있으며 애니메이션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였다. 현재 (사)한국애니메이션학회 회장, 한국콘텐츠진흥원 이사와 한성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 트랙 교수로 후학을 양성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