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1st Seoul Independent Animation Festival

서울인디애니페스트20259월 18일(목) ~ 9월 23일(화)

제18회 (2022)

예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이경화 LEE Kyunghwa

    서울엔애니메이터 SEOUL&ANIMATOR 편집/발행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시그라프 아시아 2022 컴퓨터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동의장,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래머이다.

  • 심사위원
    최유진 CHOI Yujin

    2007년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문화연구전공 문화예술경영학 석사 졸업. 2006년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사무국에 들어와 2007년부터 사무국장으로 활동하였으며, 인디애니페스트 영화제 사무국장을 거쳐 2017년부터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씨앗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애니메이션 배급을 시작하였고, 현재 독립애니메이션 관련 상영 및 배급, 교육, 정책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심사위원
    추혜진 Jinny Hyejin CHOO

    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Chung-Ang University)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2015년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부터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과천국제SF영화제(Gwacheon SF Film Festival)의 프로그래머를 거쳐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와 컨퍼런스 의장을 맡았다.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와 릴레이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프로듀서,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심사위원
    김희선 KIM Heeseon

    영국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했다. 2015년 작 [The River]가 자그레브, 히로시마, 인디애니페스트 등 해외 및 국내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영국영화협회(BFI) 소장작에 선정되었다. 현재 중앙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인디애니페스트 집행위원으로 참여중이다. 

  • 심사위원
    이경화 LEE Kyunghwa

    서울엔애니메이터 SEOUL&ANIMATOR 편집/발행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시그라프 아시아 2022 컴퓨터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동의장,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래머이다.

  • 심사위원
    지세연 Kristin JI

    중앙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했으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에서 『대중적 작가로서의 이안의 작품세계』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충무로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서울국제가족영상축제 프로그래머를 맡았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폴란드 그랜드오프영화상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 심사위원
    고동환 KO Dong-hwan

    애니메이션 감독, 레이아웃 아티스트. 
    2020년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 전공으로 졸업했다. 같은 해 대학에서 제작한 [PLAY ON]은 인디애니페스트에서 관객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이 밖에 다수의 국내외 영화제에서 수상을 이어나갔으며, 현재는 차기작으로 새로운 작품을 준비 중이다. 동시에 ScanlineVFX에서 Layout Artist로 활동하고 있으며, 다수의 Netflix Orginal series 혹은 할리우드 영화 제작에도 참여하고 있다.

  • 심사위원
    김광회 KIM Kwang-hoi

    계원예술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전공을 시작으로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스토리텔링을 공부하여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0년부터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를 시작으로 대표 참여 작품은 [빼꼼], [Angel], [I Love Picnic] 등이 있으며, 웹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좀바라 TV]를 총괄하여 진행하였다. 이후 웹툰 [고양이에게 보이는 것]의 프로듀서로 카카오와 콰이콴에 연재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장편 애니메이션 [직장인 체육대회]의 프로듀서와 중편 애니메이션 [찾아라! 데스티니]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 심사위원
    정다히 JEONG Da-hee

    애니메이션 감독.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하고2018년 인디애니페스트에서 졸업작품 [겨털소녀 김붕어(2017)]로 대상을 수상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2020년 인디애니페스트 랜선비행에서 관객상을 수상한 웹 애니메이션 [과대증 소녀 지리나(2020)], 단편 애니메이션 [과대증 소녀(2021)] 등 지속적으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는 웹 애니메이션 [스펙터클 스펙트럼]을 제작하고 있다.

  • 심사위원
    모은영 MO Eunyoung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상이론학과 영화이론 및 애니메이션이론을 전공했으며 EBS 시네마천국, 애니토피아 작가 및 film2.0, cine21 등에 영화 칼럼을 기고했다.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청춘의 십자로] 변사 공연 등 고전영화를 다양한 매체와 융합해 재해석한 복합공연을 다수 기획, 제작했다.

  • 심사위원
    장나리 JANG Nari

    애니메이션 작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에서 예술사(BFA) 와 전문사(MFA)를 졸업했다. 단편 애니메이션 [홈 스윗 홈(2012)], [아버지의 방(2016)], [아홉 살의 사루비아(2020)] 등을 제작했으며 인디애니페스트(2016)와 부산국제단편영화제 등 국내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한 이력이 있고 자그레브, 오타와, 슬램댄스, 팜 스프링스, 브뤼셀 등 해외 영화제에도 초청 상영되었다.

  • 심사위원
    조예슬 JO Yeseul

    청강문화산업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작품 단편애니메이션 [모두의게임(2016)]을 제작하였고, 2021년 단편애니메이션 [울렁울렁(2021)]을 제작하였다. 현재 차기작으로 중편 애니메이션 [찾아라! 데스티니]를 제작 중이다.

  • 심사위원
    이용선 LEE Yongsun

    애니메이션 감독. 장편 애니메이션 [반도에 살어리랏다], 중단편 [화장실 콩쿨], [거대한 태양이 다가온다], 단편 [Alone], [기억하려하다] 감독을 맡았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과 외래교수, 겸임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창의인재동반사업 웹 애니 프로젝트 멘토로 참여하고 있다.

  • 심사위원
    최희승 CHOI Heeseung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2019년 [사랑은 꿈과 현실의 외길목에서]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자그레브 애니메이션페스티벌의 스페셜 멘션, 인디애니페스트의 축제의 별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다수의 국내외 영화제를 통해 작품을 선보였다. 현재는 극장판 애니메이션 연출을 맡고 있으며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과에 출강하고 있다.

  • 심사위원
    추혜진 Jinny Hyejin CHOO

    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Chung-Ang University)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2015년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부터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과천국제SF영화제(Gwacheon SF Film Festival)의 프로그래머를 거쳐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와 컨퍼런스 의장을 맡았다.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와 릴레이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프로듀서,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심사위원
    송락현 SONG Lackhyun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연구가.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산업적 발전을 위해 작품 기획과 연구 활동을 꾸준히 병행해 오고 있다. 1997년 투니버스의 애니메이션 정보 프로그램 [스튜디오 붐붐]의 진행자로 활약했으며, 1999년 제작한 7부작 특집 다큐멘터리 [한국 만화영화 40년사]는 대한민국 케이블 TV 최우수 프로그램 대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 프로듀서를 담당했던 극장용 애니메이션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 3D]는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흥행 2위에 오른 바 있다. 주요 저서로는 [송락현의 애니스쿨], [일본 극장 아니메 50년사] 등이 있다.

  • 심사위원
    신은실 SHIN Eun-shil

    서울환경영화제, 시네마디지털서울 영화제, EBS국제다큐영화제 등에서 프로그램을 담당했다. 공저로 『필립 가렐, 찬란한 절망』, 『한국영화 100선』, 『21세기의 독립영화』,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등이 있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EXiS),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페스티발필름도큐멘터(FFD), 부산독립영화제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로 일하고 있다.

  • 심사위원
    이성강 LEE Sung-gang

    1995년 단편애니메이션 작가로서 활동을 시작하여, '넋, '덤불 속의 재', '오늘이', '저수지의 괴물' 등 다수의 단편애니메이션을 연출하였다. 2002년 장편애니메이션 '마리이야기'로 데뷔하였고, 이후 2005년 장편영화 '살결', 2007년 장편애니메이션 '천년여우 여우비', 2016년 '카이: 거울호수의 전설' 등을 연출하였다. 2002 제26회 프랑스 안시 애니메이셔 페스티발 대상, 2004 자그레브 애니메이션 페스티발 특별상, 2007 시카고 아동영화제 우수상 등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현재 2020년 연출한 장편 애니메이션 '프린세스 아야'의 개봉을 준비하고 있다.

  • 심사위원
    이정진 Jinna LEE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영화이론전공 석사 졸업, 박사 수료 후 현재 울주세계산악영화제 프로그래머로 근무하고 있다. 2005년부터 전주국제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부산국제단편영화제, 국제무형유산영상축제 등 여러 영화제에서 일해왔다. 욕자카르타영화제, 가오슝영화제, 마르델플라타영화제, 금마장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 심사위원
    전승배 JEON Seungbae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애니메이션 제작석사과정을 졸업하고, 토이빌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대표/ 감독으로 활동한다.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건전지 아빠(2021)], [토요일 다세대 주택(2018)], [두 소년의 시간(2016)], [다녀오겠습니다(2014)], [무슨일이야?(2008)]를 연출, 제작했다. 가톨릭영화제 대상, KIAFA특별상, Digicon6 Asia 2관왕, 샌프란시스코국제영화제 골든게이트, 카붐과 뉴욕 국제 어린이 영화제 관객상, 삿포로 국제 단편 영화제 베스트 아시안 단편상, 클레르몽페랑, 자그레브등 세계유수 영화제에서 수상/ 상영하였고 다수의 커머셜 필름을 제작하였다. 최근 창비 출판사에서 단편애니메이션 [건전지 아빠]와 [토요일 다세대 주택]을 그림책으로 전환하여 그림책작가로 창작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 심사위원
    누노 베아토Nuno BEATO

    누노 베아토는 사르디나 엠 라타의 공동 설립자이자, 프로듀서, 감독이다. 애니메이션의 다른 분야의 다양한 학교에서 2002년부터 강의를 하고 있다. 감독으로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핀란드, 한국과 아르헨티나에서 방영한 시리즈 [엠마와 구이] 는 전세계에서 8개의 수상과 100여회 상영된 단편 [미 비다 엔 투스 마노스] 와 함께 특별히 언급할 필요가 있다. 그의 첫 장편 [나의 할아버지의 괴물들]을 감독하였다.

  • 심사위원
    임수인 LIM Su-in

    2015년 홍익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비디오 스튜디오 KOINRUSH의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NAVER ‘라이프로그, 블로그’ 캠페인 비디오, 라이엇 게임즈 ‘리그오브레전드 아리 10주년 기념 영상’등을 제작하였고, day6 ‘파도가 끝나는 곳까지', 백예린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은 아닐 거야’ 등의 뮤직비디오들을 연출, 제작하였으며, 한해 ‘clip clop’의 뮤직비디오로 2018 MTV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수상하였다.

  • 심사위원
    이성환 LEE Sung-hwan

    1985년 안동 출생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했다. 2009년 스튜디오 쉘터를 설립하였으며 현재 스튜디오쉘터 이사로 재직중이다. [아(2011)], [클리너(2017)], [우리(2021)] 등을 연출하여 최근에는 VR 애니메이션 [기억으로 만든 집: 이향정(2022)]을 만드는 등 다양한 시도와 함께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심사위원
    원종식 WON Jong-shik

    1999년에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2003년에 뉴욕주립대 FIT 칼리지 컴퓨터 애니메이션 & 인터렉티브 미디어과를 졸업하고 2007년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전문사를 졸업한 후 지금까지 ㈜아슈비아만화영화푸로덕션에서 대표이사 겸 감독으로 있다. 2014년 EBS 방영 애니메이션 [바오밥섬의 파오파오] 52화 시리즈를 제작, 감독하였다. 2019년 기획, 제작, 각본, 감독한 장편 애니메이션 [별의 정원]은 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장편부문 드림상을 수상하였으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대만가오슝국제영화제, 런던한국영화제 등에서 공식 초청되었다. 그 외에도 유수한 국내외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하였으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심사위원
    정다희 JEONG Da-hee

    하루에 2초 분량의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연출하고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의자 위의 남자]는 2014 칸 국제영화제 감독주간 부문에 초청되었고 안시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 단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빈방]은 2016 히로시마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100여 개의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었고 20여 개의 상을 수상했다. [움직임의 사전]은 2019 칸 국제영화제 감독 주간 부문, 안시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 회원이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 심사위원
    채민주 CHAI Minjoo

    추계예술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했고, 작년 하반기 전세계 1위를 기록한 넷플릭스 [지옥] , 내년 상반기 개봉 예정인 넷플릭스 [정이] 등 현재 다양한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에서 전문 작곡가 및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대표작으로는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2 : 새로운 낙원], [번개맨 : 더 비기닝], [스푸키즈 더 무비], 그리고 올 9월에 개봉예정인 뮤지컬 장편 애니메이션 [프린세스 아야] 등이 있다.

  • 심사위원
    로흐 고아스구엔 Laure GOASGUEN

    영화에 대한 열정으로, 영화와 영상을 전문으로 하는 문화상품 마케팅에 대한 전문 학위를 받기 전에, 파리 라 소르본 누벨에서 영화와 영상에 대한 2년제 학위를 받았다. 학생 시절 미유 배급사에서 6개월 인턴쉽 과정에 참여하였다. 졸업 이후, 페스티벌과 학교 관련 책임자로 미유에서 일을 하기 시작하였고, 회사를 위해 일하며 세계를 여행하였다. 영화 산업에서 배급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를 위한 강의를 하는 것을 즐긴다.

  • 심사위원
    마이클 프레이 Michael FREI

    1987년 스위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취리히에서 활동하는 영화 감독이자 예술가이다. 그는 루체른 응용과학예술대학과 탈린에 있는 에스토니아 예술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했다. 그의 영화 [Not About Us]와 [Plug & Play]는 전 세계에서 수많은 상을 받았다.

본선심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