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1st Seoul Independent Animation Festival

서울인디애니페스트20259월 18일(목) ~ 9월 23일(화)

제20회 (2024)

예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이경화 LEE Kyunghwa

    서울엔애니메이터 편집/발행인, 애니메이터, 영화제 프로그래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시그라프아시아(2020&2022), 텐트영화제(2021~2023)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래머이다.

  • 심사위원
    추혜진 Jinny Hyejin CHOO

    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애니메이션과 융합콘텐츠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이론과 제작을 가르치고 있다. 2000년부터 부천 국제학생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과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 및 컨퍼런스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 및 프로듀서로 활동 중이다.

  • 심사위원
    최유진 CHOI Yujin

    2007년 성공회대 문화대학원 문화연구전공 문화예술경영학 석사 졸업. 2006년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사무국에 들어와 2007년부터 사무국장으로 활동하였으며, 인디애니페스트 영화제 사무국장을 거쳐 2017년부터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 외에 독립애니메이션 관련 상영 및 배급, 교육, 정책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심사위원
    서새롬 SEO Saerom

    울산애니원고, 계원조형예술대학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고 웹 시리즈 2019 [세계의 희귀동물들] 13편을 시작으로 2021년 단편 [육식콩나물]을 제작했다.
    2023년 단편 [스위밍]은 서울독립영화제와 싸이파이안페스타에서 단편 부문 대상을 받았다. 현재, 함께 작업해 온 배이삭 감독과 CatClaw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준비 중이다.

  • 심사위원
    서평원 SEO Pyoungwon

    서평원은 서울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으로,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를 함께 제작하고 있다. 2018년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였으며, 2017년에 졸업작품 [로드킬]을 제작하였다. 2023년에는 [혼자에 익숙해지는 법]을 통해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초록이상을 수상하였다. 프리랜서 작업으론 [윤석철-꿈이었으면] MV, <광화문을 알다 展> 기획전시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했다. 그는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영화과에 재학 중이며, 남도 영화제 제작지원작 [도래지]를 제작 중이다.

  • 심사위원
    이경화 LEE Kyunghwa

    서울엔애니메이터 편집/발행인, 애니메이터, 영화제 프로그래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극장판, TV 시리즈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2008~2015)을 시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2008), 인디애니페스트(2009~), 최강애니전(2015), 콕! 애니전(2018), 시그라프아시아(2020&2022), 텐트영화제(2021~2023) 등 영화제와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래머이다.

  • 심사위원
    이성환 LEE Sunghwan

    1985년 안동 출생으로 선화예술학교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했다. 2009년 스튜디오쉘터를 설립하였으며 현재 스튜디오쉘터 이사로 재직중이다. [아] (2011), [클리너] (2017), [우리] (2021) 등을 연출하였으며 최근에는 VR애니메이션 [기억으로 만든 집: 이향정] (2022) 을 연출, 국내외 다양한 영화제에서 초청되고 있다.

  • 심사위원
    이혜정 LEE Hyejeong

    시각디자인을 공부한 뒤, TVCM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삼아오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분야를 넓혀왔다. 창의인재 동반사업을 통해 만든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1)로 독립 애니메이션 감독의 경험을 쌓기 시작. 현재는 상업 활동을 이어가며 차기단편 [김해김씨 김지혜씨]를 제작하고 있다.

  • 심사위원
    황보새별 HWANGBO Saebyul

    단편 애니메이션 으로 인디애니페스트와 깊은 인연을 시작하였고, 2020년까지 JTBC스튜디오 스튜디오 룰루랄라에서 웹 시리즈 애니메이션 [뽀나나 시리즈], [내인생이 레전드다], [연애망해썰], 웹드라마 [시작은 키스]를 제작하였으며, 2023년까지 등 드라마 각색을 위한 원작IP 판권확보 및 초기 시나리오 개발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삼양애니에서 삼양식품 캐릭터 애니메이션 IP를 개발하고 있다.

  • 심사위원
    강민지 KANG Minji

    강민지 작가는 하나의 매체를 통해 작품 활동을 해야 한다는 한정된 생각에서 벗어나 회화, 입체, 디지털, 설치 등의 복합 매체를 활용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 간의 조화와 융합을 지향하며 고정되지 않는 유동적인 미디어 영상을 만든다. 시각뿐 아니라 촉각 및 후각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소재 본연의 느낌, 물질의 운동성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디지로그 미디어아트 작업을 주로 선보이며, 아날로그와 디지털, 고전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처럼 상이한 것들을 충동시켜 그 사이 유대감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모색한다. 2006년 활동을 시작으로 국내외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했으며 현재 애니메이션을 바탕으로 한 오디오 비주얼, 미디어아트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 심사위원
    박유선 PARK Yuseon

    홍익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과를 졸업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 예술전문가 과정을 수료하였다. 애니메이션 제작,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레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크고 작은 작품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2021년에 [BLINDNESS]를 제작하였고, 2023년에 [분노의 개구리]를 제작하였다.

  • 심사위원
    추혜진 Jinny Hyejin CHOO

    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애니메이션과 융합콘텐츠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이론과 제작을 가르치고 있다. 2000년부터 부천 국제학생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과 시그래프 아시아에서 프로그램 디렉터 및 컨퍼런스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영화진흥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 서울인디애니페스트에서 프로그래머 및 프로듀서로 활동 중이다.

  • 심사위원
    김경배 KIM Kyeongbae

    애니메이션 감독. 2017년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 학부 애니메이션 전공을 졸업했고 이후 2019년 [seoulsori]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2022년에는 단편 애니메이션 [AMEN A MAN]을 제작하여 서울 인디애니페스트 초록이상, 판타지아영화제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금상인 곤사토시상을 받았다. 이 밖에도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2D 애니메이션, Stray Kids '소리꾼', aespa 에스파 ‘ep2. Next Level’, 한화 'knowk knowk series'을 제작하였다.

  • 심사위원
    노경무 NOH Gyeongmu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했다. 2021년 [파란거인]으로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 특별상을, 2023년 [안 할 이유 없는 임신]으로 몬테레이 국제영화제 국제단편경쟁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졸업 후 한국영상자료원과 함께 [이날치 x 홍길동: 호랑이 뒷다리 댄스 비디오]를 만들었다. 이외 디즈니 플러스 NCT 127 다큐멘터리에도 애니메이션으로 참여하는 등 상업적으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 심사위원
    모은영 MO Eunyoung

    중앙대학교 첨단 영상대학원에서 영상이론 학과 영화이론 및 애니메이션 이론을 전공했으며 EBS 시네마천국, 애니토피아 작가 및 film2.0, cine21 등에 영화 칼럼을 기고했다.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 KOFA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서울 인디애니페스트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청춘의 십자로] 변사 공연 등 고전영화를 다양한 매체와 융합해 재해석한 복합공연을 다수 기획, 제작했다.

본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나기용 NA Giyon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스쿨 교수, (사)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회장, 인디애니페스트 영화제 집행위원장 역임, [트레일러 with 청강] 프로듀서 웹 드라마 [아만자] 애니메이션제작 산학프로젝트 프로듀서, [꽃피는 독립애니메이션 30년] 출판, 히로시마 페스티벌 [무밭에 태어난 아이들] 초청, 오타와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발 [SUBWAY] 경쟁부문, 히로시마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발 [Lost Box] 초청, 제1회 SICAF [SUBWAY] 대상, 감독상 수상

  • 심사위원
    문수진 MOON Sujin

    2022년도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했다. 2022년도 졸업작품으로 만든 [각질]은 안시애니메이션영화제에서 학생경쟁부분 대상을 수상하였고 칸 영화제 일반경쟁, 자그레브 애니메이션 영화제 학생 경쟁 등 다양한 영화제에서 수상 및 상영을 하였다. 감정과 이미지에 대한 탐구를 계속 하며 창작 활동 중이다.

  • 심사위원
    임채린 IM Chaerin

    임채린은 실험애니메이션 작업을 주로 해온 감독으로, 치열한 장인정신, 재료와 기법을 이용해 성과 젠더 등의 사회적 이슈를 탐구한다. 서울대학교 시각디자인과에서 학사학위를 받고(2017) 칼아츠 실험애니메이션 석사학위를 받았다(2020). 단편 애니메이션 [꽃](2018), [메이트](2019), [아이즈앤혼즈](2021)는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자그레브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오타와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등 세계적인 영화제들의 경쟁 부문에 초대되었으며, [나는 말이다](2022)는 BIAF2022 한국 단편 우수상을 받고 로테르담국제영화제에 선정되었다.

  • 심사위원
    김보람 KIM Boram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문학을 전공했다.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우포늪의 사람들]의 작가로 다큐멘터리 작업을 시작했다. 여성의 월경과 몸에 관한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를 연출하고, 단편 극영화 [자매들의 밤], [내 코가 석재] 등을 연출/제작했다. 최근작으로는 2023년에 개봉한 장편 다큐멘터리 [두 사람을 위한 식탁]이 있다.

  • 심사위원
    여은아 YEO Eun-a

    대한민국 포항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한국영화아카데미 애니메이션전공을 졸업했으며(2015) 졸업 작품인 단편 애니메이션 [고치](2015)를 시작으로 장편 애니메이션 [장미여관](2018), 웹 애니메이션 [심야상영관](2020), 단편 애니메이션 [유령이 떠난 자리](2023)를 작업하였다.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사할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페스티벌 등 국내외 다양한 영화제에서 수상 및 상영 하였다.

  • 심사위원
    홍준표 HONG Jun-pyo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했고, 현재는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루머’를 운영하는 애니메이션 감독이다. 2013년 인디애니페스트 새벽비행상을 수상한 단편애니메이션 [바람을 가르는]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단편, 장편, 시리즈, 광고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제작해오고 있다. 2021년 개봉한 장편애니메이션 [태일이]를 연출했고, 2022년 서울 인디 애니페스트에서 장편 부문 ‘미리내의 별’ 수상을 비롯해 2022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 등 많은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 심사위원
    박다미 PARK Dami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예술전문사 학위를 받았다. 퍼엉(Puuung)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4년 네이버 그라폴리오에 [편안하고 사랑스럽고 그래]라는 제목의 따뜻하고 공감 가득한 이야기를 연재하며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 세계적인 사랑을 받으며 10개국에서 일러스트북을 출간했다. 2017년부터 유튜브와 SNS에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선보이며, 현재 총 80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일상 속 사랑의 모습을 일러스트와 애니메이션으로 옮겨 담는 작업을 10년 넘게 꾸준히 이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국내외 전시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활동 무대를 넓혀가고 있다.

  • 심사위원
    정다히 JEONG Da-hee

    애니메이션 감독.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과 졸업. 2018년 인디애니페스트에서 졸업작품 [겨털소녀 김붕어](2017)로 대상을 수상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2020년 인디애니페스트 랜선비행에서 관객상을 수상한 웹 애니메이션 [과대증 소녀 지리나](2020), 단편 애니메이션 [과대증 소녀](2021), 웹 애니메이션 [스펙터클 스펙트럼](2023), 등을 제작하였다. 

  • 심사위원
    김상준 KIM Sangjoon

    2012년 뉴욕 School of Visual Arts의 컴퓨터 아트 학부를 졸업했다. 2016년 창작자들의 협업모임인 ‘타도’를 결성, 2018년 단편 애니메이션 [바퀴돈다]를 제작했다. [바퀴돈다]는 그 해 스페인 시체스 영화제에서 단편애니메이션 부분 대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에는 단편애니메이션 [메아리]를 완성했으며 2023년 서울인디애니페스트 인디의 별을 수상하였고, 현재는 차기작품인 [달팽이]를 제작중에 있다.

  • 심사위원
    이용배 LEE Yongbae

    어딘가 소속되지 않는 삶을 막 시작했다. 2024년 8월말에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하고서다. 한때는 애니메이션 단편들을 만들었고 영화와 다큐멘터리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초창기부터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에서 함께 놀았던 열정이 식지는 않아, 뭔가 꿈틀댈 기회를 찾고 있다.

  • 심사위원
    임미현 LIM Mihyun

    연세대학교 작곡과 학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작곡과 전문사를 졸업 하였다. 2010년부터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작품의 작곡, 오케스트라 편곡,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업한 작품에는 영화 [은밀한 유혹], [굿바이싱글], [1987], [기적], [싱크홀],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등이 있으며, 드라마는 [38사기동대], [손 the guest], [sky캐슬], [멜로가체질], [유미의 세포들 시즌], [나의 해방일지] 등이 있다.

  • 심사위원
    장형윤 CHANG Hyung-yun

    한국영화아카데미 애니메이션을 전공했다. 단편애니메이션 [편지](2003)로 주목받았으며 단편 [아빠가 필요해](2005), [무림일검의 사생활](2007)로 많은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2014년 장편애니메이션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 2019년 장편애니메이션 [마왕의 딸 이리샤]를 만들었다. 이후 실사 단편 영화 [무협은 이제 관뒀어](2020)가 전주국제영화제 한국단편경쟁 부문에 상영되면서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화작품을 만들고 있다.

  • 심사위원
    사리나 니헤이 Sarina NIHEI

    사리나 니헤이는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프리랜서 애니메이션 감독이다. 에스토니아 애니메이션에 매료되어 애니메이션 분야의 직업을 갖기로 결심했다. 영국 왕립예술대학을 졸업했으며, 졸업작품인 [모자 쓴 난장이]는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애니 뫼스트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영국 애니메이션 어워즈(BAA) 등 전 세계 영화제에서 수상을 했다. 핸드 드로잉 기법을 전문으로 하며, 뮤직비디오와 단편을 만들며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