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21st Seoul Independent Animation Festival

서울인디애니페스트20259월 18일(목) ~ 9월 23일(화)

제15회 (2019)

예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김영준 KIM Youngjun

    애니메이션 작가
    김영준은 움직이는 그림에 관심이 많은 애니메이션 작가이다.
    공간과 그 속에 존재하는 객체와의 심리적 긴장과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그림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며, 비주얼 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다루면서 애니메이션의 장르적 확장성과 예술성에 대한 실험을 지속 중이다.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구슬모아당구장과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뮤지션 김동률의 뮤직비디오 <동화>를 제작했고, 2019년에는 디뮤지엄 전시에 애니메이션으로 참여하고 있다.

  • 심사위원
    오서로 OH Seoro

    1990년 서울 출생, 애니메이션 감독 및 애니메이터/디자이너.
    2015년 졸업 단편 애니메이션 를 제작하고 Annecy 2015, Animafest Zagreb 2015, Stuttgart Festival of Animated Film 2016, 서 Lotte Reiniger Promotion Award for Animated Film을 수상 등 해외 유수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했다. 이어 독립 단편애니메이션 <(OO)> 을 제작, Insomnia Animation Film Festival 2018 대상, SIGGRAPH ASIA Bangkok 2017 심사위원상 등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상영 및 수상하였다.
    24만 구독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며 2019년에는 톤코하우스전 서울 콜라보 전시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였고, 덴마크 Viborg Animation Festival 2019의 VAF아티스트로 선정되어 영화제 트레일러를 제작했다.

  • 심사위원
    이경화 LEE Kyunghwa

    서울엔애니메이터 SEOUL&ANIMATOR 편집/발행인
    2004~2007 (주)캐릭터플랜 CHARACTER PLAN에서 극장판, TV시리즈, 공익 광고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8~2015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eoul International Cartoon & Animation Festival 영화제 팀Film Festival Team에서 영화제 업무 전반을 익혔다.
    2012년 단편 애니메이션 <언더그라운드 UNDERGROUND>를 발표했다.
    2016년부터 인디애니페스트 아시아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를 맡고 있다.

  • 심사위원
    송시형 SONG Shihyeong

    고려대학교에서 문화사회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국제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인디애니페스트’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교육청 행복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단 [영화•애니메이션 교안개발 프로젝트] TF연구원을 역임하였다. 또한, 영화진흥위원회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공모전]과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대한민국 창작 만화 공모전] 본선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 심사위원
    정민영 JUNG Minyung

    애니메이션 감독
    1973년 충남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석사졸업 및 동대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재학시절 스톱모션 작품 , <길>, <숨은책>은 도쿄아니마페어에서 연이어 수상을 하였다. 2008년 ‘별별이야기2’의 <메리골라스마스>, 2011년 <낙원>, 2016년 <홈>을 발표하였고, 최근 <아주특별한 선물>은 2018년 SICAF 한국작품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스튜디오 ‘클락하우스’에서 기획 및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 심사위원
    추혜진 Jinny HyeJin CHOO

    대학에서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2010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제작 전공으로 영상예술학 석사 학위를, 2015년 동대학에서 영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0년부터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을 시작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과천국제SF영화제의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시그래프 아시아 2020 컨퍼런스 의장과 인디애니페스트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 테라피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통합예술교육과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 심사위원
    김희선 KIM Heeseon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션과 모션 및 그래픽 애니메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영국왕립음악학교(Royal college of Music)에서 인터랙티브 오케스트라 <나비연인>(Butterfly Lover)을 제작하고, 영국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에서 연출한 단편 애니메이션 <강>(The River)이 자그레브, 히로시마, 인터필름 및 다수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현재 두 번째 애니메이션 <온 오리진>(On Origin)을 제작하고 있다.

  • 심사위원
    모은영 Mㅒ Eun-young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상이론학과 영화이론 및 애니메이션이론을 전공했으며 EBS 시네마천국, 애니토피아 작가 및 Film2.0, Cine21 등에 영화칼럼을 기고했다.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프로그래머를 거쳐 현재 인디애니페스트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청춘의 십자로> 변사 공연 등 고전영화를 다양한 매체와 융합해 재해석한 복합공연을 다수 기획, 제작했다.

  • 심사위원
    홍덕표 HONG Deokpyo

    애니메이션 감독
    2001년 단편애니메이션 <사이(Between)>로 제9회 히로시마국제애니메이션 영화제에 초청되었고, 2004년 <남자다운 수다(Man Talk)>로 제30회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에 첫 장편애니메이션 발광하는 현대사(Mater&Man)를 연출하였고, 2016년에 두 번째 장편애니메이션 <졸업반(The Senior Class)>을 연출하였다.

본선심사위원
  • 심사위원
    야마무라 코지 Koji YAMAMURA

    야마무라 코지는 1964년에 태어났다. 1990년대에 그는 오랜 시간을 어린이를 위한 영화를 만들면서 자신의 스타일을 다듬었다. <두산> 아카데미영화제 최우수단편애니메이션 후보가 된것이 전환점이 되었고 <늙은 악어 이야기> (2005),<시골 의사> (2007), <머이 브리지의 끈> (2011)으로 세계 최고 애니메이션 작가의 반열에 오른다. 그작품들은 4대 큰 애니메이션 영화제인 안시, 자그레브, 오타와, 히로시마의 대상을 포함해 상을 90개 이상 받았다.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으로 여러 번 일했으며 세계를돌며 회고전도 많이 했다. 2019년에는 자수부장(왕실에서수여하는 학술/예술/스포츠 분야 공로상)을 받았다.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 회원이며 도쿄예술대학 교수이다.


  • 심사위원
    보리스 라베 Boris Labbé

    1987년 프랑스 란므장에서 태어난 보리스 라베는프랑스와 스페인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애니메이션 감독이다. 그의 작품은 단편영화, 시청각 콘서트와 비디오 설치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완수된다. 2013년부터사크르블루 프로덕션스와 협력하고 있다. 단편 영화 <더폴>은 칸 영화제 57회 비평가주간에서 특별 상영되었다.


  • 심사위원
    이용선 LEE Yongsun

    청강문화산업대학교졸업 후 애니메이션 감독, 대학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4번째 단편 애니메이션 <화장실 콩쿨>(toilet concours) 2015 인디애니페스트 독립보행상, 관객상, 관객 심사단상을 수상했다.

    첫 장편 애니메이션 <반도에 살어리랏다>(I'll just live in Bando) 2018 체코 애니필름(ANIFILM) 대상을 수상했다.


  • 심사위원
    이용철 LEE Yong-Cheol

    영화평론가 / 연세대학교 졸업

    영화평론가협회 정회원, 서울영상위원회 독립영화 배급위원이며 씨네21과 익스트림무비의 편집위원을지냈다.

    현재 씨네21, 대한항공, 한국영상자료원, 서울아트시네마, 익스트림무비 등에 기고 및 강연을 하고 있으며, 서울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Film2.0 등에 연재한 바 있다.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영화 이론을 강의했으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전북독립영화제, 환경영화제, DMZ국제다큐영화제,EBS국제다큐영화제 등에서 심사를 맡았다.

    공저로 <보통 배우 한석규, 추억을 선물하다>, <영화인이 말하는 영화인>, <폭력의 엘레지스즈키 세이준>, <호러 영화>, 영화>에 참여했다.


  • 심사위원
    장나리 JANG Nari

    1985년 출생.
    한국예술종합학교 애니메이션과를 졸업하고 단편애니메이션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단편애니메이션 <반짝 반짝, 2011> 공동감독, , <아버지의 방,2016>을 제작했다.

    그리고 웹애니메이션 <한심해서 죄송합니다, 2017>, <검은 악어, 2017>을 만들었고 현재는 콘텐츠진흥원 단편제작지원2018로새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 심사위원
    박지연 PARK Jee-youn

    애니메이션감독

    1974년 경남 사천에서 태어났다. 단편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고있으며 <스튜디오 지금이 아니면 안돼>의 조감독및 미술감독으로 참여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모리>라는 단편애니메이션으로 데뷔했으며 두 번째단편 애니메이션 <도시에서 그녀가 피할 수 없는 것들>(The things she can’t avoide in the city)로 서울독립영화제 최우수상,인디애니페스트 대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세 번째 단편 애니메이션 <낙타들>(camels)로 안시, 오타와, 자그레브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경쟁부문에 진출했다.

    장편애니메이션 <우리별 일호와 얼룩소>의 조감독, <마왕의 딸 이리샤>의 미술 감독을 맡았다.


  • 심사위원
    이규태 LEE Kyu-tae

    애니메이션 감독/만화가/일러스트레이터.

    일러스트와 만화 애니메이션 작업을 사물과 공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을 좋아한다. 단편 만화와 애니메이션 [Here Winter], [몸이 큰 아이], [Each Other] 등을 제작하였고 일러스트를 통한 협업도 즐기고 있다.


  • 심사위원
    마이크 윙 Mike NGUYEN

    마이크윙은 1988년에 캘리포니아 예술대학교(칼아츠)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주로 미국의 장편애니메이션 산업에 종사하며 월트 디즈니, 워너 브라더스, 드림웍스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스튜디오에서 캐릭터 애니메이터로서 일해왔다.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은 <아이언 자이언트>에는 총괄 애니메이터로 참여했다.

    2000, 그는 독립 극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인 <줄리 필름>을 공동 창업하였으며, 그의 감독 데뷔작은 현재 제작 중인 장편 극 애니메이션 <마이리틀 월드>이다. 그는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칼아츠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 강의를 담당했고, 덴마크, 아일랜드, 태국, 대만, 한국에서 애니메이션 워크숍을 열기도 했다. 현재는 청강문화산업대학교의 애니메이션 스쿨의 교수이다.

    그는핸드 드로잉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에 관심이 많고, 지구에서의 삶에 대한 아름다운 생각을 영화에 담고자한다.